2025. 4. 15. 11:24ㆍ신세계 이마트배 전국고교야구대회
1. 기본 정보
1) 대회 정보
- 대회명 : 2025 신세계 이마트배 전국고교야구대회
- 기간 : 2025.03.26.(수) ~ 2025.04.14.(일) [총 19일간]
- 장소 : 밀양스포츠파크 야구장, 가곡야구장, 서울 목동야구장, 인천 SSG랜더스 필드
2) 선수 정보
- 소속 : 대구고
- 이름(등번호) : 김민준(20)
- 포지션 : 투수
- 투타 : 우투우타
- 키 / 몸무게 : 185cm / 97kg
- 생년월일 : 2006. (19세)
2. 피칭 성적 요약
경기 | 선발 | 구원 | 승 | 이닝 | 투구 수 |
5 | 0 | 5 | 0 | 20.0 | 247 |
피안타 | 피홈런 | 4사구 | 탈삼진 | 실점 | 자책점 |
10 | 0 | 3 | 30 | 2 | 1 |
3. 항목별 분석
✅ 1) 제구력(Control & Command)
얼마나 안정적으로 스트라이크를 던질 수 있는가?
① 스트라이크 : 스트라이크 존에 들어간 투구
항목 | 설명 | 수치 | 해석 |
전체 스트라이크 비율 | 전체 투구 중 스트라이크 비율 (기본 제구력 척도) | 68.8% | ● 매우 우수 |
초구 스트라이크 비율 | 첫 공 스트라이크 비율 (공격적 피칭 / 주도권 잡는 능력) | 47.8% | ● 불안정 |
🔍 분석
전체 스트라이크 비율은 매우 우수하며 고교 평균(약 62~65%)를 크게 상회하는 수치입니다. 기본 제구력이 뛰어나며 스트라이크 존을 안정적으로 공략할 수 있는 투수로 판단됩니다.
단, 초구 스트라이크 비율은 50% 미만으로 첫 공에서의 주도권 확보율은 낮은 편이지만, 다른 수치들이 이를 충분히 보완하고 있어 전반적 제구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이며 경험이 쌓이면 향상 가능성이 높은 영역입니다.
② 4사구 : 실질적인 제구 실패 수치
항목 | 설명 | 수치 | 해석 |
4사구 비율 | 전체 상대 타자 중 몇 %에게 4사구를 허용했는가 | 4.2% | ● 매우 우수 |
9이닝당 4사구 허용 수 | 9이닝 기준 몇 개의 4사구를 내줬는가 | 1.4 | ● 매우 우수 |
🔍 분석
고교야구에서 5% 이하의 4사구 비율은 매우 드문 수치로, 불필요한 출루를 억제할 수 있는 안정적인 제구를 보여줍니다.
9이닝 기준으로도 매우 낮은 수치로, 장기적인 이닝 소화 시에도 제구 흐트러짐 없이 운영 가능한 투수입니다.
③ 평균자책점(ERA) : 9이닝 기준 자책점 환산 지표 (실점 면에서 얼마나 안정적인가)
항목 | 수치 | 해석 |
ERA | 0.45 | ● 매우 우수 |
🔍 분석
제구력이 단순히 볼넷 억제에 그치지 않고 실점 억제력으로 이어진 대표적 사례입니다. 뛰어난 제구가 경기 결과에 긍정적으로 기여했음을 보여줍니다.
✍️ 평가
볼넷 허용을 철저히 억제하면서도 안정적인 경기 운영이 가능한 제구형 투수입니다.
경기 흐름을 무너뜨리지 않는 침착한 스타일이며, 팀 전력 안정성에 기여할 수 있는 자산입니다.
✅ 2) 구위(Power & Pitch Quality)
얼마나 위력 있는 공을 던지는가?
(8강 이후 구속이 측정된 데이터에 한 함)
① 구속
구분 | 수치 (km/h) | 해석 |
최고 구속(max) | 149.0 | 단순한 파워 측정 |
평균 구속 (avg) | 134.9 | 경기 전체 구속 유지력 |
최소 구속 (min) | 121.0 |
🔍 분석
최고 구속이 149km/h에 달해, 눈에 띄는 파워 피칭 능력을 보유한 투수입니다.
평균 구속이 135km/h 안팎으로 유지되고 있으며, 이는 구종 다양성과 힘 조절 능력을 시사합니다.
② 구속 유지력(Velocity Consistency)
구분 | 최고 구속 (km/h) | 평균 구속 (km/h) | 최소 구속 (km/h) |
1이닝 | 139.5 | 133.7 | 126.5 |
2이닝 | 145.5 | 133.4 | 122.0 |
3이닝 | 147.5 | 137.8 | 124.5 |
4이닝 | 149.0 | 134.2 | 126.0 |
5이닝 | 130.0 | 130.0 | 130.0 |
※ [1이닝] 은 등판 후 첫 번째 이닝을 의미 (예. [2이닝]은 등판 후 두번째 이닝)
🔍 분석
이닝이 지날수록 오히려 구속이 상승하는 구간이 있어, 중반 이후에도 힘이 유지되는 유형입니다.
경기 말미(5이닝~) 다소 구속이 떨어졌지만, 이미 충분히 구속 유지력과 회복 탄력성이 입증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.
· 3~4 이닝에서 오히려 최고 구속이 상승하는 점이 매우 인상적 (147.5 → 149.0 km/h)
· 1~4 이닝 평균 구속의 편차가 작고 안정적, 이는 지속적인 경기 집중력과 루틴이 확립되어 있음을 의미
· 등판 후 다섯 번째 이닝에서의 구속 하락(평균 130km/h)은 체력 저하 또는 경기 종료 직전 구위 조절 의도로 해석 가능
(단, 투구 데이터가 적어 정확한 분석에 어려움이 있음)
③ 구속 구간별 제구 일관성 : 투수가 어느 속도대에서 가장 안정적인 제구를 했는지
구속 구간 | 투구 수 | 투구 비율 | 스트라이크 | 스트라이크 비율 | 해석 |
100~110 km/h | - | - | - | - | - |
110~120 km/h | - | - | - | - | - |
120~130 km/h | 30 | 41.1% | 22 | 73.3% | ● 매우 우수 |
130~140 km/h | 14 | 19.2% | 8 | 57.1% | ● 우수 |
140~150 km/h | 29 | 39.7% | 20 | 69.0% | ● 매우 우수 |
150 km/h ~ | - | - | - | - | - |
합계 | 73 | 100% | 50 | 68.5% | ● 매우 우수 |
🔍 분석
변화구 / 완급조절 영역(120~130km/h)에서의 제구력은 우수
파워 피칭 영역(140~150km/h) 영역에서도 스트라이크 비율 69%로 단순히 구속이 빠른 공이 아닌 '위력 있는 공'을 던지고 있음
④ 탈삼진 : 구위로 타자를 압도하는 능력
항목 | 설명 | 수치 | 해석 |
탈삼진 비율 (K%) | 전체 상대 타자 중 삼진으로 잡아낸 비율 | 41.7% | ● 매우 우수 |
9이닝당 탈삼진 수 (K/9) | 9이닝 기준 탈삼진을 몇 개 잡았는가 | 13.5 | ● 매우 우수 |
🔍 분석
전체 타자 중 거의 절반 가까이를 삼진으로 처리하고 있으며, 9이닝당 13.5개의 탈삼진은 압도적 구위의 직접적인 증거입니다.
✍️ 평가
고교 무대에서 보기 드문 정확한 파워 투수로 평가됩니다.
직구 위력 + 제구 기반 변화구 + 탈삼진 능력의 조합은 매우 인상적입니다. 향후 130~140km/h 구간 제구 보완, 초구 스트라이크율 향상 등이 이뤄진다면 선발/마무리 모두 가능한 완성형 투수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.
✅ 3) 피칭 효율(Efficiency)
얼마나 적은 공으로 이닝을 이끄는가?
① 이닝당 투구 수 (P/IP) : 1이닝 평균 몇 개의 공을 던졌는가(경기 전체 효율성, 체력 보존)
항목 | 수치 | 해석 |
이닝당 투구 수 | 12.4 | ● 매우 우수 |
🔍 분석
이닝당 투구 수 12.4는 상당히 효율적인 수치입니다. 이는 빠른 카운트 승부 또는 타자 유도 타법을 효과적으로 구사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.
② 타자당 투구 수(P/PA) : 낭비 없는 피칭 여부(불필요한 승부 피했는지)
항목 | 수치 | 해석 |
타자당 투구 수 | 3.4 | ● 매우 우수 |
🔍 분석
타자 한 명당 평균 3.4구는 과도하게 끌지 않는 이상적인 투구 수 입니다. 타자와의 긴 승부를 지양하고 적절한 승부 시점을 잘 선택하고 있는 투수로 해석되며 구종 운영, 유인구 활용, 결정구 타이밍이 균형 있게 갖춰졌다는 점을 시사합니다.
③ WHIP : 출루 허용 지표, 주자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억제하는가
항목 | 수치 | 해석 |
WHIP | 0.65 | ● 매우 우수 |
🔍 분석
WHIP 0.65는 압도적인 수준으로, 이닝당 평균 0.6명의 타자의 출루를 허용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. 이는 피안타와 4사구 허용이 매우 적고, 매 이닝 주자를 거의 내보내지 않는 안정적인 피칭을 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.
위기 상황 자체가 거의 없는 투구 내용이며, 실점 억제에 매우 효과적인 유형입니다.
✍️ 평가
매우 효율적인 피칭을 전개하고 있는 투수로 해석됩니다.
이는 단순한 제구력만이 아니라, 카운트 운영 능력, 구속과 변화구의 조화, 결정구 활용의 정확도 등 종합적인 피칭 기술이 뛰어나다는 점을 의미합니다.
고교야구 기준에서 해당 수준의 피칭 효율은 경기 운영 능력이 매우 뛰어나며, 짧은 투구 수로 긴 이닝을 책임질 수 있는 자질이 충분한 투수임을 보여줍니다.
4. 종합 평가
✅ 장점 (Strengths)
① 우수한 제구력과 안정적인 경기 운영
→ 전체 스트라이크 비율 68.8%, 4사구 비율 4.2%, WHIP 0.65 등 제구력 지표가 매우 안정적이며, 이닝당 12.4구, 타자당 3.4구로 피칭 효율도 뛰어납니다.
② 압도적인 탈삼진 능력
→ 탈삼진 비율(K%) 41.7%은 고교 상위권 수준의 구위와 결정구 활용 능력을 보여주며 단순한 구속이 아닌 삼진 유도 능력이 뛰어난 타입입니다.
✅ 보완점 & 성장 포인트
① 5이닝 이상 구속 및 효율 유지 능력 확인 필요
→ 5이닝 구속이 다소 하락하는 경향이 있어, 장기 등판 시 페이스 유지 여부에 대한 추가 검증이 요구됩니다.
단, 해당 이닝의 표본 수가 적어 정확한 분석이 어려울 가능성도 있으므로 등판 테스트를 통해 체력 및 리듬 유지 능력 확인이 필요합니다.
② 경험 기반 피칭 운영 완성도 향상
→ 제구력과 구위는 준수하나, 경기 흐름과 상대 타자 분석 기반의 피칭 운영 완성도는 더 향상될 여지가 있습니다.
이는 게임 경험과 실전 투구 속도 조절, 변화구 구사 비율 변화 등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.
🌟 종합 결론
대구고 김민준 선수는 구위와 효율을 동시에 갖춘 안정감 있는 파워 피처로, 경험이 쌓일수록 더 단단해질 유형의 선수입니다.
다만, 초구 승부나 장거리 등판 시 페이스 유지 여부 등은 지속적인 확인이 필요한 성장 포인트로 판단됩니다.
전체적으로는 팀에서 믿고 맡길 수 있는 안정적인 불펜 자원이며, 중장기적으로는 선발 전환 가능성도 기대해볼 수 있는 유망주입니다.
📌 안내
본 분석은 '2025 신세계 이마트배 전국고교야구대회' 에서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한 대회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어 데이터 표본이 적은 만큼 선수의 기량을 파악하는 참고 자료로 활용해주시고,
시즌 전반의 경기 흐름과 함께 지속적으로 관찰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.
📈 선수별 데이터 리포트, 궁금하지 않으신가요?
✔️ 타율, 타점, 도루 등 핵심 기록
✔️ 학교별 주요 선수 한눈에 보기
✔️ 각 대회 종료 후 요약 리포트 제공
💌 [구독]만 해두시면, 고교야구 선수 데이터를 보기 쉽게 정리한 리포트로 받아보실 수 있어요😊
👉 데이터를 보고 싶은 선수가 있다면? 누구나, 언제든지, 무료로!
📤 1:1 문의는 [카카오톡 오픈채팅 바로가기] 에서 편하게 남겨주세요!
'신세계 이마트배 전국고교야구대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세계 이마트배 고교야구 | 제물포고 지현(18) 데이터 분석 리포트 (0) | 2025.04.16 |
---|---|
신세계 이마트배 고교야구 | 서울고 송지윤(3) 데이터 분석 리포트 (0) | 2025.04.15 |
신세계 이마트배 고교야구 | 마산용마고 김주오(27) 데이터 분석 리포트 (1) | 2025.04.14 |
신세계 이마트배 고교야구 | 청원고 조혜성(27) 데이터 분석 리포트 (0) | 2025.04.14 |
신세계 이마트배 고교야구 | 마산용마고 성치환(18) 데이터 분석 리포트 (1) | 2025.04.14 |